• 서울
    B
    미세먼지
  • 경기
    B
    미세먼지
  • 인천
    B
    미세먼지
  • 광주
    B
    미세먼지
  • 대전
    B
    미세먼지
  • 대구
    B
    미세먼지
  • 울산
    B
    미세먼지
  • 부산
    H
    16℃
    미세먼지
  • 강원
    B
    미세먼지
  • 충북
    B
    미세먼지
  • 충남
    Y
    15℃
    미세먼지
  • 전북
    B
    미세먼지
  • 전남
    B
    미세먼지
  • 경북
    B
    미세먼지
  • 경남
    B
    미세먼지
  • 제주
    R
    15℃
    미세먼지
  • 세종
    B
    미세먼지
최종편집2024-04-26 09:18 (금) 기사제보 구독신청
기업 10곳 중 7곳 “4차 산업혁명 준비 못해”
기업 10곳 중 7곳 “4차 산업혁명 준비 못해”
  • 이기동 기자
  • 승인 2017.06.01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경제연구원 조사…“혁신적 인재 육성해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귀사는 준비를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 기업의 52.9%가 ‘준비를 못하고 있다’, 18.3%는 ‘전혀 준비를 못하고 있다’고 응답, 70% 정도는 준비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준비하고 있다’는 기업은 26.7%,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2.2%에 지나지 않았다. 전체 기업의 30%만 4차 산업혁명에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의 인지도 역시 낮은 수준이다. “귀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8.0%만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35.3%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들어는 봤다’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기업이 56.7%에 달해 국내 기업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 4차 산업혁명의 인지도는 서비스업 기업이 제조업 기업에 비해 다소 높은 모습을 보였다. 서비스업 기업의 51.5%가 4차 산업혁명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제조업 기업은 40.9%만이 4차 산업혁명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서비스업 기업의 6.9%, 제조업 기업의 11.1%는 4차 산업혁명을 ‘전혀 모른다’고 응답해 인지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규제’가 4차 산업혁명 ‘발목’

기업들은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수준이 미흡한 이유로 ‘과도한 규제 및 인프라 부족’ ‘전문인력 및 인재 부족’ ‘4차 산업혁명 이해 부족’ 등을 꼽았다. ‘과도한 규제 및 인프라 부족’이 22.3%로 가장 많이 응답한 가운데 ‘전문인력 및 인재 부족’(18.6%), 4차 산업혁명 이해부족‘(18.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4차 산업에 대한 대응이 미흡한 이유로 ‘과도한 규제 및 법적 인프라 유연성 부족’을 들었지만, 특히 중소기업은 ‘투자 자금 부족’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반면 대기업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부족’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한다고 응답한 기업들 중 대부분은 ‘신사업 및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스마트공장 도입’(33.8%), ‘신산업 및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31.1%) 순으로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대기업은 ‘전담조직 신설’(30.8%), ‘산업 및 신비즈니스 모델 개발’(23.1%), ‘전문인력 확보’(19.2%) 순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일자리 창출’ 보다 ‘노동시장 붕괴’ 우려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 성장동력 창출’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을 기대하는 한편 ‘노동시장 붕괴’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응답 중 51.6%가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 성장동력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는 가운데, 19.1%는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와는 달리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 여파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10.3%)보다는 ‘노동시장 붕괴’(13.6%)에 더 큰 우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비해 ‘미래 성장 동력 창출’에, 중소기업은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에 거는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인공지능(AI)’을 꼽았으며, 제조업은 서비스업에 비해 ‘스마트팩토리’ ‘로봇’에 더 높은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결과, 기업들의 32.5%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은 ‘인공지능’이라고 답한 가운데 ‘사물인터넷’(14.9%), ‘빅데이터’(13.4%), ‘로봇’(12.8%) 등도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기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에, 제조업 기업은 ‘스마트팩토리’ ‘로봇’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설비에 높은 기대를 보였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응답 기업이 속한 산업뿐만 아니라 응답 기업 경영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속한 산업에 ‘영향을 받는다’(62.3%), ‘큰 영향을 받는다’(18.5%)로 나타나 응답기업의 약 80%가 산업변화를 예상하고 있었다. ‘영향이 없다’(17.0%)거나 ‘전혀 영향이 없다’(2.3%)는 응답도 20%에 달했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으로 ‘귀사의 경영 전반에 영향을 받는다’(62.8%), ‘큰 영향을 받는다’(13.8%)로 집계돼 76%가 경영 전반의 변화를 예상했다. ‘경영 전반에 영향이 없다’(20.9%), ‘전혀 영향이 없다’(2.5%)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기업가 정신 살리고 창업인프라 늘려야”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정부에 바라는 점은 ‘기업투자 관련 세제 혜택’이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기업들이 정부에 바라는 정책은 ‘기업 투자 관련 세제 혜택’(19.2%), ‘인적자본 투자’(17.9%), ‘산업규제 혁신 및 법률 정비’(17.0%)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제조업은 ‘기업 투자 관련 세제 혜택’(20.9%), ‘인적자본 투자’(17.2%), ‘산업규제 혁신 및 법률 정비’(14.8%),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산업 규제 혁신 및 법률 정비’(20.4%), ‘인적자본 투자’(19.1%), ‘기업 투자 관련 세제 혜택’(16.6%) 순으로 응답했다.

이번 조사 결과 대다수 기업들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정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와 기업의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과감한 선제적 규제 개혁과 제도 도입으로 한국 경제 시스템 유연성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해 민간 부분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시장여건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과거 단일산업을 전제로 설정된 각종 칸막이 규제와 행정이 산업융합을 가로막고,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어 사전규제를 철폐하고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함과 동시에 사후 감독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기업의 투자 인센티브제도 확대를 통해 기업의 투자를 적극 유인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로 연결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육성과 전문 인력 확보도 절실하다. 반복 학습과 암기식 교육으로 정해진 답을 찾는 교육 시스템에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사고 중심 교육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 정부의 평생학습 및 직업 교육, 기업의 근로자 교육훈련 확대를 통해 미래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비해야 하며, 기업과 대학 간 산학협력을 통해 유연성 있는 직무 역량 강화 전략, 인재 활용을 위한 민-관 및 기업 간 파트너십 등이 필요하다.

특히 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산업 패러다임의 대변화를 인식하고 중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향후 관련 시장 및 산업 변화 등 미래 변화에 대한 예측과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 대비한 선제적인 경영전략 수립이 시급하다. 사회 전반에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고 창업 인프라를 확대하는 등 적극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인사이트코리아, INSIGHTKOREA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